2024.01.15 - [GIS/Cesium] - [3D MAP] 1. 기본 용어 정리
용어를 훑어봐도, 그래서 이게 뭔데? 어떻게 사용하는건데? 하는 질문은 머릿속을 끊임없이 유영합니다.
해당 글은 vworld key, cesium ion key 발급과 함께 cesium ion 의 모델을 올리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V World 인증 키 발급
회원가입 진행 및 로그인
vworld 사이트에 들어가 먼저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https://www.vworld.kr/v4po_main.do
브이월드
지도조회 공간정보 다운로드 서비스 기업정보 지도조회 다양한 국가공간정보를 누구나 쉽게 조회·활용할 수 있는 2D·3D 지도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브이월드 지도 바로가기 공간정보 다운로드
www.vworld.kr
인증키 발급
로그인 진행 후, 오른쪽 상단에 있는 메뉴 버튼을 누르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전체 메뉴가 오픈됩니다.
서비스 > OPEN API > 인증키 부분이 보입니다. ' 인증키 발급 ' 을 누릅니다.
' 동의합니다 ' 클릭.
아래와 같이 작성하시면 됩니다. (저는 업무용이 아닌 개인 공부용 목적 입니다.) 따로 목적이 있으시면 그 상황에 맞게 작성하시고 하단에 ' 지도 인증키 받기 ' 클릭
인증키를 발급 받는다면 이렇게 목록 확인도 가능합니다.
참고로 인증키에 대한 간략한 정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최대 연장 3회 가능 (하나의 키로 총 12개월 사용가능)
- ID 당 총 10개의 인증키 발급 가능
- 운영키 등록은 개발키 유효기간이 남아있을 때 신청 가능
Cesium Ion 인증키 발급
회원가입 진행 및 로그인
cesium ion 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진행 및 로그인을 하시면 됩니다.
https://cesium.com/platform/cesium-ion/
Cesium ion
Cesium ion is a robust, scalable, and secure platform for 3D geospatial data. Bring your own data to be optimized as 3D Tiles, hosted in the cloud, and streamed to any device.
cesium.com
인증키 발급
로그인을 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뜰 겁니다. 이곳은 Cesium 에서 쓰일 수 있는 모델, 정사영상 등을 업로드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공간이며, cesium 라이브러리 함수를 통해 활용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저장 용량 5GB 를 제공해줍니다.
메뉴는 다음과 같습니다.
- MyAssets : 자신이 등록한 지도 및 모델 목록
- Asset Depot : 베이스 지도 생성
- Access Tokens : 지도 실행에 필요한 key(토큰) 생성
- Usage : 해당 키 값으로 접속한 정보들을 보여 줌
우리의 목적은 인증키 발급이니, Access Tokens 메뉴를 눌러 줍니다.
짜잔, 인증키 발급이 끝났습니다.
메뉴만 눌러도 key 값이 생성되니 참 쉽죠? 앞으로 Default Token 값을 이용하여 활용하면 됩니다.
Cesium ION 모델 등록 및 활용
Cesium ION 모델 등록
키값도 확인했으니, 모델을 올려봐야겠죠? 메뉴 중 MyAssets 를 눌러봅시다.
등록한게 없는데 목록에 올라와 있는 이름들이 보입니다.
Cesium Ion 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 3D Tiles, Imagery, Terrain 입니다.
- 3D Tiles : 3D 건물 (glb) 와 같은 모델 파일 (3D 지리공간 콘텐츠)
- Imagery : 고해상도 이미지(지도) 등
- Terrain : 고도 지형 파일 (높이, 경사 등)
가볍게 생각하면 이런 분류로 볼 수 있겠네요.
모델을 이제 올려보겠습니다.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편할대로 선택하면 됩니다.
1. My Assets > Add data 클릭
2. My Assets 페이지에서 모델 파일 (glb) 드래그 앤 드롭
파일에 대한 분류를 ion 에서 자동으로 인식하고 다음과 같은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해당 화면은 3D Tile 에 대한 옵션 선택이며, Imagery, Terrain 일 때는 조금씩 상이합니다.
- Asset name : data 이름 작성
- 3D Model(tile as 3D Tiles) 선택
- 3D Model Options 선택
3D Model Options 종류
* Draco Compression : 압축을 통해 가볍고 빠르게 3D 모델을 띄울 수 있게 해주는 최적화 모드. 다만, 특정 버전에서 지원을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 WebP images : 웹상 이미지에 뛰어난 무손실 및 손실 압축을 제공하는 최신 이미지 형식. 무손실 이미지이며 용량은 더 작다.
3D Model Options 제가 사용하기 위해 선택한 것이며 정답은 아닙니다.
저는 프로젝트 진행 시 여러가지 문제로 WebP images 선택을 선호했습니다.
위와 같이 작성 및 선택 후 Upload 를 누르시면 모델 등록은 완료됩니다.
작업 파일을 예시로 들어, 미리보기 이미지를 가렸습니다.
업로드 버튼을 누르면 모델에 대한 ID 값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ID 값은 오른쪽 code 부분에서 예시로 보여주는 것과 같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 외
Cesium Ion 에서 모델에 대한 업로드만 다뤘는데 이미지나 트레인을 파일(.tif)을 올리다보면 다른 옵션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데이터의 타입(Raster Imagery, Raster Terrain),
베이스가 될 Terrain 선택,
높이에 대한 단위 선택 (meters ..),
좌표계에 대한 선택 등이 있다고 볼 수 있겠네요.
해당 부분은 실제 파일에 대해 달라지는 선택 옵션들이어서 따로 다루지 않았습니다.
Adjust Tileset Location
그리고 종류에 따라 파일을 업로드 하고 Adjust Tileset Location 할 때도 있습니다. 따로 예시를 들만한 요소가 보이지 않아 잠시 가볍게 다루고 넘어가겠습니다.
위의 내용처럼 모델을 등록하고 나면 미리보기 위에 작은 글씨가 하나 보입니다.
Adjust Tileset Location 이 보이시나요? 해당 버튼을 누르면 업로드한 모델이 어떠한 좌표(Longitude, Latitude) 에서 고도(Height) 값을 가지고, 방향축(Heading, Pitch, Roll) 에 따라 배치한다, 라는 설정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업로드 미리보기
Ion에 여러 파일을 업로드 하고 나서, 해당 파일을 코드로 작성하기 전에 제대로 업로드가 됐는지, 불러오게 되면 어떻게 불러와 지는 지 미리보기를 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Cesium Ion 메뉴 중 Stories 입니다. 처음 하시는 분들은 해당 목록이 비어있거나 아니면 이름없는 상태로 만들어져 있을텐데, 만약 목록이 비어있다면 New Story 버튼을 눌러 생성하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하나의 Story 가 생기게 됩니다.
생성된 story의 Edit 을 눌러보면
이 부분에서 Assets 영역과 Terrain 영역을 보시면 됩니다.
Assets 영역에서 Add asset... 버튼을 눌러봅시다. 그러면 내가 올렸던 파일 목록이 보입니다.
1. 해당 파일의 이름을 선택
2. Add 클릭
Assets 목록에 추가되며, 해당 파일 이름의 오른편에 있는 돋보기를 누르면 미리보기가 가능하니 해보시길 바랍니다.
Terrain 영역은 지형에 대한 베이스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어떤 베이스로 볼 것인지 선택하시면 됩니다.
마치며
vworld key 발급, cesium ion key 발급 및 간단한 활용법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Angular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웹에 CesiumJs 를 띄우는 방법에 대해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02.01 - [GIS/Cesium] - [3D MAP] 3. Angular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CesiumJS 표출해보기 (Cesium 기본 뷰어 로드 방법)
'GIS > Cesium'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 MAP] 3. Angular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CesiumJS 표출해보기 (Cesium 기본 뷰어 로드 방법) (2) | 2024.02.01 |
---|---|
[3D MAP] 1. 기본 용어 정리 (0) | 2024.01.15 |